맨위로가기

화성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성시의 시내버스는 화성시에서 운행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여러 운수 업체가 시내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버스를 운행하며,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적용하여 다른 대중교통과의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화성시 무상교통 정책을 통해 청소년의 버스 이용 요금을 지원하고, 서울특별시, 수원시 등 인접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 노선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성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화성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화성시의 시내버스
버스 정보
화성시내버스 721번
화성시내버스 721번
관리 기관화성시청 교통행정과
서비스 지역경기도 화성시
기타 지역서울특별시,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 성남시, 안산시, 군포시, 의왕시, 오산시, 평택시, 안양시
노선 수95
인가 대수294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웹사이트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2. 운수 업체

화성시에는 경진여객, 경원여객, 남양여객, 제부여객, 화성여객, 화성운수 등 여러 시내버스 운수업체가 있으며, 화성도시공사에서 공영버스를 운영하여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

화성시 관외 업체로는 광주시의 경기고속, 대원고속, 수원시의 경진여객, 수원여객, 남양여객, 용남고속, 삼경운수, 성우운수, 안산시의 태화상운, 오산시의 오산교통, 한신운수, 용인시의 경남여객 등이 화성시를 경유하는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1]

2. 1. 시내버스

2021년 1월 기준이다.[1]

운행업체보유 노선 수등록 대수
경진여객57106
경원여객111
남양여객1278
대원고속 (KD)439
제부여객21107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48
화성도시공사520
화성여객 (KD)30190
화성운수633


2. 2. 다른 시, 군 운수업체


3. 요금 체계

화성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기 때문에 거리비례제를 적용받는다. 2019년 9월 28일 기준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은 다음과 같다.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1,5001,4501,2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1001,010870
어린이 (만 6세 ~ 11세)800730630
일반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5002,4502,0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9001,8201,520
어린이 (만 6세 ~ 11세)1,7001,6401,370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2,9002,8002,4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0001,9601,680
어린이 (만 6세 ~ 11세)2,0001,9601,680
경기순환어른 (만 19세 이상)3,1003,0502,6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2002,1401,820
어린이 (만 6세 ~ 11세)2,2002,1401,820
광역급행(M버스)어른 (만 18세 이상)2,9002,8002,300
청소년 (만 12세 ~ 17세)2,1002,0001,600
어린이 (만 6세 ~ 11세)1,6001,6001,300



2020년 11월부터 화성시에서는 무상교통 정책을 시행하여, 만 7세 이상 만 18세 미만 청소년은 신청을 통해 시내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savebus.hscity.go.kr/ 화성시 무상교통]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환승 할인

화성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므로, 다른 경기도 지역 시내버스, 수도권 전철 등과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2020년 11월부터 화성시 무상교통 정책이 시행되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시내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무상교통은 신청자에 한하여 적용되며, 2020년 기준으로 만 7세 이상 만 18세 미만 청소년이 신청 자격을 갖는다. 자세한 사항은 [https://savebus.hscity.go.kr/ 화성시 무상교통]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화성시 차적의 운행 노선

화성시 차적의 시내버스는 화성시 관내를 운행하는 노선과 관외를 운행하는 노선으로 구분된다. 시내버스 외에도 마을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M버스)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도시형버스'''는 화성시 관내 및 인접 지역을 운행하며, 주로 화성여객, 제부여객, 화성운수, 화성도시공사에서 운영한다. 주요 노선으로는 동탄역을 경유하는 H10, H23번 노선과 수원역과 향남택지지구를 연결하는 38번 노선, 병점역과 동탄2신도시를 잇는 73번 노선 등이 있다.

'''지선버스'''는 조암터미널과 발안산업단지를 연결하는 33-1, 33-2번 노선이 있으며, 경진여객에서 운행한다.

'''일반좌석버스'''는 도시형버스와 유사한 구간을 운행하지만, 일부 정류장에만 정차하여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금정역과 향남택지지구를 연결하는 340-1, 340-2번 노선(제부여객)과 수원역과 송산면을 잇는 400(A)번 노선(남양여객) 등이 대표적이다.

'''직행좌석버스'''는 화성시와 서울특별시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대원고속화성여객에서 운영한다. M4108, M4403번은 동탄신도시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신논현역을 연결하며, M4130, M4137, M4434, M4448, M4449번은 동탄2신도시, 한신대학교 등에서 출발하여 서울역, 강남역 등으로 운행한다.

이 외에도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으로 선정된 116-3, 340-1, 400(A)번 노선이 있다.

4. 1. 도시형버스

화성시 관내를 운행하는 도시형버스 노선 목록이다.

4. 1. 1. 지선버스

노선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비고
33-1
33-2
경진여객조암터미널발안산업단지장안면 행정복지센터, 독정리, 제암리, 발안초등학교, 향남읍 행정복지센터, 향남2지구(서봉마을)30~40분33-2번은 1회 조암 출발 발안산업단지 도착 노선으로 장안공단 경유 (18:10)


4. 2. 일반좌석버스


4. 3. 직행좌석버스

국도 제39호선(서해로) 직통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400(A)남양여객이의동(경기대후문)↔송산면(사강복지회관)광교역, 경기대수원캠퍼스후문.수원박물관, 우만주공3.4단지, 팔달문, 도청입구, 수원역.AK플라자, 수원역환승센터, 수원역.역전시장, 고색역, 오목천동, 어천역, 비봉, 양노리, 북양1통, 남양읍행정복지센터, 남양사거리, 마도사거리, 돼지고개.삼존리물미, 사강복지회관, 사강시장20~30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5. 타 시도 차적의 운행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116-1경기고속정자역↔갈곶동
(화남아파트)미금역, 하얀마을, 오리역, 보정역, 구성역, 신갈초교, 신갈오거리, 메타폴리스, 제일교회15~25광주시 면허700-2경기고속오리역수원대학교미금역, 동천역, 수지구청역, 경기대학교, 화성행궁, 수원역, 고색동, 오목천동5-15광주시 면허720-1경기고속영통
지역난방공사↔남한산성입구영통발: 신나무실, 영통역, 망포역, 신영통, 삼성반도체 왕복 운행
청명역, 아주대학교, 경기지방경찰청, 성복역, 수지구청역, 수지고, 머내, 미금역, 분당중앙공원, 서현역, 도촌지구, 중원경찰서, 단대오거리역5~10광주시 면허720-2경기고속안녕동↔백현마을와우리, 오목천동, 탑동, 서둔동, 수원역, 중동, 아주대학교, 광교테크노밸리, 상현동, 성복역, 수지구청역, 죽전역, 미금역, 한솔마을, 서현역5~15광주시 면허



=== 광역급행버스 ===

노선
번호
운행
업체
운행구간기점부
정류장
무정차 구간종점부
정류장
배차
간격
(분)
기타
사항
M4108대원고속동탄신도시서울역월드반도A
서해쌍용A
메타폴리스
한빛마을
예당마을
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
남산1호터널
서울백병원
을지로입구역
시청역
명동국민은행
7~15
M4403대원고속동탄신도시신논현역월드반도A
다은마을
메타폴리스
한빛마을
예당마을
경부고속도로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7~15


5. 1. 광주시의 시내버스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116-1경기고속정자역↔갈곶동
(화남아파트)미금역, 하얀마을, 오리역, 보정역, 구성역, 신갈초교, 신갈오거리, 메타폴리스, 제일교회15~25광주시 면허700-2경기고속오리역수원대학교미금역, 동천역, 수지구청역, 경기대학교, 화성행궁, 수원역, 고색동, 오목천동5-15광주시 면허720-1경기고속영통
지역난방공사↔남한산성입구영통발: 신나무실, 영통역, 망포역, 신영통, 삼성반도체 왕복 운행
청명역, 아주대학교, 경기지방경찰청, 성복역, 수지구청역, 수지고, 머내, 미금역, 분당중앙공원, 서현역, 도촌지구, 중원경찰서, 단대오거리역5~10광주시 면허720-2경기고속안녕동↔백현마을와우리, 오목천동, 탑동, 서둔동, 수원역, 중동, 아주대학교, 광교테크노밸리, 상현동, 성복역, 수지구청역, 죽전역, 미금역, 한솔마을, 서현역5~15광주시 면허


5. 2. 광역급행버스

번호운행
업체운행구간기점부
정류장무정차 구간종점부
정류장배차
간격
(분)기타
사항M4108대원고속동탄신도시서울역월드반도A
서해쌍용A
메타폴리스
한빛마을
예당마을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
남산1호터널서울백병원
을지로입구역
시청역
명동국민은행7~15M4403대원고속동탄신도시신논현역월드반도A
다은마을
메타폴리스
한빛마을
예당마을경부고속도로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7~15


6. 사진

화성시내버스 1004번

7.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